반응형

인사관리,회계 8

회사 지각, 사내 프로지각러😓 회사에서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? / 징계 가능? / 지각한 것에 대해 급여·연차 차감 기준 / 지하철 지연으로

"무음이어서 알람이 안 울렸어요." "내려야 할 지하철 역을 지나쳤어요." "부모님이 아파서요." "눈이 많이 와서 버스가 지연됐어요."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위와 같은 이유로 지각하는 '프로지각러'가 한 명쯤은 있기 마련입니다. 하지만 반복되는 지각은 단순한 개인 습관의 문제가 아니라 조직 전체의 근무 기강을 흔들고, 업무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. 실제 사례들을 살펴보면, 지각이나 근무 태만을 반복하는 동료를 볼 때 근무 의욕이 저하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. 특히 협업이 중요한 직무에서는 한 명의 지각이 팀 전체의 일정에 영향을 미치고, 이는 결국 동료들의 피로감과 불만으로 ..

인사관리,회계 2025.03.07

한국 비자 종류, D비자, F비자 종류

반도체 공장에 재직 중이다. 생산직 인원들 중 중국(조선족) 사람들이 많은데 입국 비자를 확인하다 보니갑자기 비자 종류가 궁금해졌다.그래서 간단히 찾아본 비자 종류 정리해 봤어요.단순 기록용임.   비자의 종류는  외교 공무, 주한미군(A), 사증면제(B), 비영리 단기(C), 장기 체류(D),취업(E), 거주 및 영주(F), 기타(G)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  각각 비자 종류 중에서도 아주 상세하게 나눠지니까 그건 아래 링크를 참고하길 바라요 https://www.visa.go.kr/openPage.do?MENU_ID=10102내가 궁금했던 건D비자 그리고, F비자들이다. 그래서 D비자랑 F 비자만 정리해 봄  D 비자 종류   우선 D 비자(장기 체류)는 영리와 비영리로 나눠진다.(색으로 구분하겠음)비..

인사관리,회계 2024.07.23

[회계] 기말 재고자산의 평가 - 계속기록법&실지재고조사법 / 개별법&선입선출법&가중평균법(총평균법,이동평균법)

재경관리사 재무회계 공부 도중 기억이 안 나서 정리해 보았어요. 기말 재고자산의 평가에는 1. 수량의 결정 2. 재고자산의 원가 흐름에 대한 가정으로 나뉩니다.기말재고자산 평가는 계산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.   (1) 수량의 결정 1) 계속 기록법 - 판매량 조사의 목적  상품의 입, 출고 시마다 수량을 계속해서 기록하는 방법 * 기초 재고수량 + 당기 매입수량 - 당기 판매수량 = 기말재고수량 2) 실지재고조사법 - 재고조사 목적 (결산시점에 한 번만)  기초 재고수량과 당기 매입수량만을 기록하고 당기 판매수량은 기말에 실지재고조사를 한 후 일괄적으로 파악 * 기초 재고수량 + 당기 매입수량 - 기말 실지재고수량 = 당기 판매수량   (2) 재고자산의 원가 흐름에 대한 가정 1) 개별법 - 특별 주문이..

인사관리,회계 2024.07.23

중소기업이 MZ세대 직원 채용 가능한 방안?? 중소기업 청년 구인난 실태? 해결 방안?

작성자의 가치관, 의식의 흐름에 따라 작성됨 지적 환영 ​ 얼마 전 고용노동부, 상생임금위원회 등이 주최한 인사담당자, 근로자 간담회에 참석했다. ​ 먼저 인사담당자님들과 고용노동부, 상생임금위원회 위원님들의 간담회를 진행하고 그 이후에 근로자와의 간담회를 90분 정도 진행했다. ​ 나는 근로자 대표로 참석해서 이런저런 얘기도 하고 다른 기업들의 입장도 듣고 왔다. 우리 회사는 경기도 안산 반월 공업단지에 위치해있다. ​ 우리 회사는 그나마 안산 반월, 시화 공업단지에서 규모가 큰 회사이다. 어제 고문으로 참석하신 안산노조위원장님? (명칭이 잘 기억 안 남) 말씀을 들어보니, 반월, 시화 공업단지에 위치한 기업당 평균 노동자 수가 18명이라고 하셨다. ​ 그만큼 영세 사업장이 많다는 것이며, 실제로 어제..

인사관리,회계 2023.05.31

회사의 병가 지급은 의무일까요? (+업무상 재해는?)

병가는 유급휴가? 무급휴가?? '병가'란 신체 정신적 문제의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휴가인데요 ​ 사람들이 오해하는 부분이 '휴가'라는 단어 때문에 연차휴가와 마찬가지로 회사에서 의무적으로 지급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. (나도 그랬답니다 흑흑) ​ 그러나 근로기준법에서는 병가를 따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. ​ 즉 병가 지급은 회사의 의무가 아닌 재량이라고 볼 수 있죠. 따라서 회사 자체적으로 정해진 취업규칙, 단체협약을 따르면 됩니다. ​ 유급인지 무급인지도 법적으로 정해진 것이 없기 때문에 위와 마찬가지로 취업규칙을 따라주시면 됩니다. ​ 추가로 병가 또한 개인적 사유로 출근할 수 없는 것이므로 결근 처리를 하여도 원칙적으로는 문제가 없습니다. ​ 하지만 결근으로 처리하게 되면 병가를 사..

인사관리,회계 2023.02.14

파견직과 도급직의 차이점 및 비교, 내용 요약

안녕하세요 JB입니다. 오랜만에 정보글 올려봅니다요. ​ 파견과 도급직은 제조업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계약 형태입니다. ​ 저희 회사도 반도체 제조회사인데 도급계약을 시행중이고요. ​ 인사업무를 담당하다보니 알게되어서 그냥 기록할 겸 작성해봅니다. ​ 일반적인 근로계약은 하나의 사용자와 하나의 근로자 사이에 체결되는 계약입니다. ​ 하지만 두 명의 사용자가 존재하면 파견 계약, 도급 계약으로 불리는데요. ​ 그 둘의 차이는 지휘와 명령에 대한 권리가 누구에게 있느냐입니다. ​ 파견계약 파견은 파견사업주(파견업체)가 근로자를 고용한 후, 근로자가 사용사업주(기업)를 위해 근로를 제공하는 것을 뜻합니다 ​ 근로자는 파견사업주와 근로계약을 하지만 근로자에 대한 지휘,명령 권한은 사용사업주(근무를 하고 있는 기..

인사관리,회계 2023.01.19

연차는 52시간 근무에 포함될까요? 아닐까요?

​연차 사용 시 52시간 적용 여부는? 주 52시간에 대한 근로시간은 실제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합니다. ​ 그러므로 결론은 연차를 사용한 경우 52시간에 포함되지 않는답니다. 연차휴가를 사용한 날은 실제 근로시간이 0시간인 것이지요. ​ 연차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출근한 것으로 간주가 되기는 하지만 근로시간은 실제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하기 때문이죠. ​ ​ 그러므로 52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른 날에 추가적으로 근무를 하거나 연장 근무를 더 할 수 있습니다. ​ ​ 추가로 사용자와 근로자가 합의하여도 주 52시간을 넘으면 위반입니다. ​ 52시간을 초과한 근무시간에 대체휴가나 수당 등을 지급해도 위반이라는 점 참고 바랍니다. ​ ​ 해당 내용은 근로기준법 53조를 참고 바랍니다. ​ htt..

인사관리,회계 2023.01.19

월 209시간 계산 방법, 계산식 및 이유

월 209시간 계산 방법 우선 계산식은 (40시간 + 8시간(유급휴일)) × 365일 ÷ 7일 ÷ 12개월 = 208.57...이 나오게 된다. 이는 1주 근로시간 ×4.345주(365일을 7일로 나눔)을 의미. 자세한 계산식 및 그 이유는 아래를 참고하길 바랍니다. 가끔 헷갈려서 기억하기 위해 내가 정리해봐요 근로시간 주 40시간 + 8시간 = 48시간 40시간은 근로기준법 50조에 따라 1일 8시간, 주 40시간 근무제한인 1일 소정근로시간인 8시간 × 5일이다. 여기까지는 당연한 거지만 뒤에 붙는 8시간에 대해 의문이 생길 수 있을 것이다. 이 8시간은 근로기준법 55조(휴일) 및 근로기준법 시행령 30조에 따라 지급되는 유급보상이다. 월급제 근로자는 임금에 유급보상(주휴수당)이 포함되어 있다고 간..

인사관리,회계 2022.10.28
반응형